새로 구입한 노트북(X1 Cabon)에 Ubuntu 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분투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는 배포판이며, 가장 최신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배포판이기도 하다.
하지만, 점점 무거워지고 있는 배포판이기도 하다. 실제 Live CD 를 실행시켜본 결과 나름 최신 CPU 를 장착하고 있음데도 불구하고 전혀 빠르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따라서 여기서는 우분투를 최소화해서 설치할 것이다. X 윈도우는 openbox 를 사용할 것이다. 최대한 가볍고 쾌적한 환경을 구축할 것이다.
설치할 X1 의 H/W 스펙은 다음과 같다.
CPU | 코어i7-3667U(듀얼,2.0GHz) |
RAM | 8G(DDR3) |
Hard | 256G(SSD) |
그래픽 | CPU내장(HD4000) |
해상도 | 화면:14인치(1600×900) |
Network | WiFi a/b/g/n |
ETC | 블루투스3.0, 카메라, USB 3.0, USB 2.0, mini-DisplayPort |
준비운동 하기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일반적으로 받을 수 있는 이미지로 설치하면 자동으로 X 윈도우가 Gnome 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Ubuntu minimal 버전을 별도로 받아 이것을 가지고 설치한다.
https://help.ubuntu.com/community/Installation/MinimalCD 에 접속하면, 하단에 '64-bit PC (amd64, x86_64)' 탭의 'Ubuntu 12.10 “Quantal Quetzal” Minimal CD 34MB' 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참고로 2013년 1월 현재 최신버전이다.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단시간에 받을 수 있고, 1G 정도의 메모리로도 충분히 설치 USB 를 만들 수 있다.
iso 파일을 USB 에 설치하는 방법은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여기서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사용방법은 간단한데, 실행시키고, 'Step1' 에서 맨아래 항목인 'Other Linux Distribution' 을 선택한다.
우분투 설치 USB 가 준비가 되었으면, 이를 통해 부팅한다. X1 카본의 경우, CMOS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설치
USB 로 부팅하면 설치 메뉴가 뜬다. 'Install' 선택한다. 이후 아주 익숙한 설치 화면이 뜬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네트워크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X1 카본의 경우, 유선랜 포트가 없기 때문에, 오직 무선랜으로만 네트워킹이 가능하다. 설치 과정 중에 나오는 네트워크 설정 부분에서 접속 가능한 SSID 와 비밀번호를 적어 접속을 완료해야 한다.
파티션 지정
기본적으로 256GB 의 하드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과 같이 파티션을 나눈다.
파티션 | 사이즈 | 마운트포인트 | 파일시스템 타입 | Flag |
/dev/sda1 | 246.1 GB | / | ext4 | Boot_flag |
/dev/sda2 | 10 GB | swap | swap |
소프트웨어 선택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는다.
설정하기
X 윈도우
openbox 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apt-get install openbox xinit x11-xserver-utils #startx
텅빈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가 보인다면 정상이다. 이제부터 X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다.
패키지 검색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하다보면, 특정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에러 메세지를 뿌리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어떤 패키지를 설치해야 하는지 난감한 경우가 많은데, 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apt-file 이 그것이다.
#apt-get install apt-file #apt-file update // 소스리스트에 등록된 패키지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사용방법은 간단한다. 만일 libXtst.so.6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패키지를 알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된다.
# apt-file search libXtst.so.6 libxtst6: /usr/lib/x86_64-linux-gnu/libXtst.so.6 libxtst6: /usr/lib/x86_64-linux-gnu/libXtst.so.6.1.0 libxtst6-dbg: /usr/lib/debug/usr/lib/x86_64-linux-gnu/libXtst.so.6.1.0
아마도 결과로 보아 libxtst6 패키지를 설치하면 되겠다.
폰트 설정
언제나 그렇듯 MS 윈도우의 굴림폰트를 가져다 사용한다. gulim.ttc 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방법은 다른 문서를 참고한다.
앞의 방법으로도 폰트가 제대로 바뀌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예를 들면, openbox 의 설정 화면 또는 evince 가 대표적이다.
이때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한다. .fonts.conf 파일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vi ~/.fonts.conf <?xml version="1.0"?> <!DOCTYPE fontconfig SYSTEM "fonts.dtd"> <fontconfig> <!-- created by WenQuanYi FcDesigner v0.5 --> <match> <test name="family"><string>sans-serif</string></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Gulim</string> <!-- Please install DejaVu Sans first --> </edit> </match> <match> <test name="family"><string>serif</string></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Gulim</string> <!-- Please install Droid Serif first --> </edit> </match> <match> <test name="family"><string>monospace</string></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Gulim</string> <!-- Please install WenQuanYi Zen Hei Mono first --> </edit> </match> <match target="font"> <test name="family"> <string>Gulim</string> </test> <edit name="pixelsize" mode="assign"> <int>12</int> </edit> </match> </fontconfig>
사운드 설정
이제 소리를 들어보자. 설정 방법은 X40 에 데비안 설치하기 - 제2판 를 참고한다.
프로그램 설치
터미널
가장 기본이 되는 터미널을 설치하자.
#apt-get install lxterminal
브라우저
이제는 웹브라우저를 설치한다. 여기서는 firefox 를 선택했다.
#apt-get install firefox firefox-locale-ko
한글 입력기
나비를 설치한다. 설치 방법은 X40 에 데비안 설치하기 - 제2판 를 참고한다.
오피스
리브레(Libreoffice)오피스를 설치한다. 설치 방법은 X40 에 데비안 설치하기 - 제2판 를 참고한다.
음악 재생기
콘솔용 음악 재생 프로그램인 moc 를 설치한다. 설치 방법은 X40 에 데비안 설치하기 - 제2판 를 참고한다.
압축 해제 프로그램
한글 파일이름으로 압축된 파일을 풀어주는 프로그램인 kozip 을 만들자. 자세한 방법은 X40 에 데비안 설치하기 - 제2판 를 참고한다.
VMware
여러가지 개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가상화 시스템이다. H/W 리소스만 충분하다면, 반드시 사용해야 할 솔루션이다.
현재 이분야에는 VMware 와 Virtualbox 가 가장 유명하다. 이중에 VMware 를 사용한다.
Virtualbox 와는 달리 VMware 는 오픈소스가 아니기 때문에 제조사 홈페이지에 가서 직접 다운 받아야 한다. 현재 최신 버전은 9.0.1 이다.
다운을 받았다면, 설치한다.
#apt-get install libxtst6 #chmod 777 VMware-Workstation-Full-9.0.1-894247.x86_64.bundle #./VMware-Workstation-Full-9.0.1-894247.x86_64.bundle
시리얼 키는 아래를 참고한다.
HA2VM-220EP-3ZAN8-JR156-8CNHD 1V6JV-60H84-LZXV0-028G2-CA2HD 0V0HD-641E4-FZWK0-UH1EM-CAEP1 NG25P-AW2DN-RZ1V0-K8252-ACY0P 1V22N-4LK8H-TZ1N9-GR9Q2-92GK5
FTP 클라이언트
FileZilla 를 사용한다. http://filezilla-project.org/ 에서 최신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자동 접속 스크립트
ssh
ssh 로 자주 접속하는 곳의 로그인을 자동으로 해주는 스크립트를 만들어보자.
#!/usr/bin/expect set timeout -1 spawn ssh -l root 192.168.2.128 expect "password: " send "1111\n" interact
위의 내용을 myssh 라는 파일로 만들고, 실행권한(755)을 줘서, /usr/local/bin 아래에 복사한다.
ftp
ftp 역시 만들 수 있다. 아래는 서버가 proftpd 인 경우다.
#!/usr/bin/expect set timeout -1 spawn ftp 172.16.229.128 expect "Name (172.16.229.128:root): " send "wjkim\n" expect "Password:" send "1111\n" interact
동영상 재생기
가장 가벼운 프로그램으로 mplayer 가 있다.
#apt-get install mplayer
메신저 프로그램
예전에 가임(gaim)이라는 유명한 메신저가 있었다. 현재는 pidgin 이라는 통합 메신저가 있다. 왠만한 메신저는 지원할 뿐더러, 심지어 네이트온(nateon)까지 가능하다.
#apt-get install pidgin
네이트온에 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있는데, 별도의 패치가 필요하다. http://opensea.egloos.com/5468360 에서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문제없이 접속이 가능해진다.
64 비트 환경이라면, pidgin-nateon_2.6.6-svn147-27bugbear5_amd64.deb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